스터디 노트

스터디 노트[제로베이스 콘텐츠 마케팅 스쿨 스터디 노트] 8/9 _ 마케팅 제안서 작성법

삼면지 2024. 8. 9. 01:35


1. 제안서 작성 준비하기

  • 마케팅 제안서란?

: 고객의 성공적 비즈니스를 위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기획을 문서화 한 것
: 작업 범위, 마케팅 전략, 프로젝트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법 포함
 

  • 어떤 내용이 들어갈까?

1) 목표제시 : 우리가 하고자 하는 목표,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으로 수치화된 목표가 가장 좋음
2) 문제점 분석 : 왜 현 상황에서 이런 문제점들이 발생을 했고, 경쟁사는 어떠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는가, 자사가 처한 상황 분석
3) 마케팅 전략 : 우리가 마케팅을 어떻게 실행할지 그것들에 대한 전략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제안서에 녹여야 함
>> 기업이 하고자 하는 목표와 연관되어야 함
4) 캠페인 지표 달성 방법 : 캠페인 지표를 세부적으로 어떤식으로 달성해야 할지 제안서에 담아내야 함
5) 필요한 예산과 스케줄
 

  • 좋은 제안서의 요건

1) 문제 해결의 요건을 충족
- 제안서는 의뢰 내용과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라는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어야 함
- 제안의 목적,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, 대상, 구체적인 실시방법, 스케줄, 예산은 필수 요건

2) 상대방이 흥미로워 할 만한 내용
- 제안을 받는 상대방이 문제해결 방법에 대해 신선함을 느껴야 함
- 숫자로 표시된 명확한 메리트
- 합리적인 비용

3) 상대방의 요구를 충족
- 제안을 받아들일수 있도록 상대방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안
- 상대방의 입장에서 어느정도 전략적 타협 필요

  • 나쁜 제안서의 요건

1) 문제해결과 상관없는 형식적 제안서
- 제안서는 항상 문제해결과 이어져야 함
- 상대방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면 제안의 의미가 없음

2) 디지털 마케팅 방법만 나열한 제안서
- 왜 이 마케팅 툴을 써야 하는지 합리적 근거나 이유 없이 단순한 사용법 나열X

3) 상대방이 얻을 수 있는 가치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제안서
- 제안의 내용대로 실행할 경우 얻게 되는 가치를 말하지 않는다면 제안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음

4)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지 않는 제안서
- 제안을 받는 상대방의 관점을 무시하고 작성자 입장에서 어려운 전문용어나 약어를 사용하거나 기술적인 내용으로 일관한다면 제안 상대방이 불편을 느낄 수 있음

  • RFP 이해하기

- RFP(Request for Proposal : 제안 요청서)
: 해당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정해줬으면 하는지에 대해 고객이 제시하는 공식적인 내용

1) RFP 발행 후 요구사항 스토리보드 만들기
- RFP에서 언급된 내용이 제안서에 빠짐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작성
- 상대방의 요구에 정확한 대응과 차별화 전략 작성이 포인트
👉RFP의 항목별로 빠짐없이 요구사항과 함께 정리, 이 요구사항을 어떤 식으로 우리가 해결해낼수 있는지 제안 내용을 정리해야 함

2) RFP가 없는 경우?
- 고객과의 충분한 미팅을 통해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인터뷰

3) 예상 RFP 작성
- 확인된 고객의 요구 사항을 기준으로 예상 RFP 자체 제작
- 예상 RFP 를 기준으로 체크리스트 제작
- 추후 RFP가 공식적으로 제작될 경우 추후 수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