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터디 노트

스터디 노트[제로베이스 콘텐츠 마케팅 스쿨 스터디 노트] 9/3 _ 콘텐츠 에디터를 위한 오가닉 콘텐츠 글쓰기⑤

삼면지 2024. 9. 3. 09:51
4. 콘텐츠 퇴고

 
1. 퇴고가 중요한 이유
퇴고를 하지 않으면,
✔️사실과 다른 내용을 그대로 발행한다
✔️사회적 편견이 담긴 내용을 그대로 발행한다
✔️맞춤법이 틀린 채 발행한다
 
퇴고를 하지 않으면,
step 1.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
step 2. 브랜드 신뢰도 저하
step 3. 불매운동, 사과문
 
즉, 제대로 퇴고를 하지 않은 콘텐츠가 쌓이면 좋은 이미지를 쌓아놓은 브랜드라도 한 순간에 비호감이 될 수 있음
 
 
2. 부정 이슈를 차단하는 퇴고 6단계

 
step 1) 정보의 팩트 체크
: 콘텐츠에 담긴 내용이 정확한 사실이 맞는지 확인, 보도자료를 참고한 내용이라도 사실과 다른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더블 체크 필요!
 
<검토방법>

 
step 2) 부적절한 표현 검토
: 브랜드 채널은 개인 SNS가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함, 누군가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신중히 검토해야 함

즉, 내가 쓰려는 표현이 차별인지 아닌지 사실 여부를 가려내는 게 아님. 핵심은 '누군가가 불쾌할 만한 여지가 있는가?'
 
step 3) 문맥 검토
: 독자가 내가 쓴 콘텐츠를 읽는데 매끄럽지 않고 앞과 뒤가 다르다고 느낀다면?
>> 콘텐츠의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느낄 것
>> 브랜드 콘텐츠에 대한 흥미를 잃을 것

 
즉, 내가 작성한 글의 문장과 문장, 문단과 문단을 연결 지어 읽어보기
문맥에 어긋나는 내용이 들어온다면 맥락에 맞도록 수정
 
step 4) 소리 내 읽으며 강조

 
step 5) 맞춤법 검토
✔️상사/고객사/동료들에게 콘텐츠를 보고할 때
✔️콘텐츠를 예약하거나 바로 발행할 때
맞춤법 검토 반드시 하기!

 
step 6) 동료가 검토

 
 
 
3. 발행 후 퇴고
: 콘텐츠가 발행되고 나면 모바일 화면에서도 보기 좋은 배열인지 확인해야 함

✔️콘텐츠 발행 전 임시저장 상태로 모바일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면 미래 배열을 정리
✔️발행 후에만 확인할 수 있다면 글의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았는지 체크하고 흐트러진 경우, 재빠르게 PC에서 수정
-> 웨일 브라우저를 활용하면 모바일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PC로 확인 가능
 
 

5. 협업을 위한 문서 작성법

 
1. 유튜브 콘텐츠 제작이 쉬워지는 영상 기획안/콘티/큐카드
Case 1. 상부 보고와 팀 공유를 위한 기획안
: 전반적인 촬영 개요와 스토리보드를 압축한 것이 특징
👇
✔️1장에 핵심만 요약해서 넣기
✔️제목, 콘셉트, 촬영일, 발행일 등 주요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
✔️간략한 스토리보드를 함께 넣기
 
Case 2. 제작팀 공유를 위한 영상 콘티
: 촬영장에서 PD나 카메라 감독, 출연자가 함께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
👇
✔️업계에 통일된 규격 양식은 없음, 우리 콘텐츠 성격에 맞는 양식 만들어보기
✔️콘티를 자세히 쓸 필요는 없음, 콘티는 현장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잡아주는 역할이므로 가이드를 주는 정도라고 생각하고 적으면 OK

 
Case 3. 출연자를 위한 큐카드
: 보고 바로 읽을 수 있도록 가독성 있게 작성하는 것이 관건
👇
✔️보고 바로바로 읽을 수 있도록 짧게 작성
✔️표를 활용해 가독성 높이기

 
 
2. 작가와 커뮤니케이션이 쉬워지는 인스타툰 콘티
✔️인스타그램으로 최대 10장만 업로드 가능, 썸네일을 제외한 9장 이내로 스토리 짜보기
✔️그림이 들어갈 자리를 감안해, 카드뉴스를 만들 때보다 더 짧은 텍스트를 고민해 보기

 
 

6. 성과 분석과 결과 보고

1. 콘텐츠 성과 분석
1️⃣정성적 성과 : 숫자로 정확히 표현하기 어려운 성과
2️⃣정량적 성과 : 객관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수치화할 수 있는 성과

유의미한 지표
도달(or 노출)>댓글, 공유(저장)>좋아요
도달과 노출 : 얼마나 유기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바이럴이 되었는가
댓글, 공유, 저장 : 이 콘텐츠가 얼마나 마음에 드는지에 대한 적극적인 액션
좋아요 : 댓글, 공유, 저장에 비해 소극적인 액션
 
 
2. 콘텐츠 결과 보고

  • 결과 보고 앞부분은

✔️주 단위 or 월 단위에 맞게 기간별 성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로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

  • 결과 보고 본문용



이 글은 제로베이스 콘텐츠마케팅 스쿨의 강의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